목표율 및 적자목표율/실적에 대한 글이 있어 문득 생각해 봅니다
단순히 실적과 목표만을 비교하는건 무리가 있어보입니다.
아래와 같이 말이죠
(참고로 특정부분을 절대값으로 하기위해서는 abs 함수를 사용했습니다)
그래서 달성액을 구한 다음 비교하는 방법을 생각하면
이 문제에서는 기준점이 0(영) 이라고 보입니다.
아래와 같이 본다면 엄밀히 말해서
사례(가)와 (나) (A 와 B)의 경우는 합당한 판단으로 볼 수도 있으나,
사례(다)와 (라) (C 와 D) 의 경우는 문제점이 있어 보이네요.
우선,
(다) 경우 목표는 -800 이고 실적이 200 이므로 실제 달성한 실적은 1,000 이고
따라서 달성율은 1000÷(-800)= -125%
(라) 경우 목표는 -800 이고 실적이 -200 이므로 실제 달성한 실적은 600 이네요
따라서 달성율은 600÷(-800)=-75%
뭔가 이상하네요 달성을 일정한 수량만큼 ++로 했는데 그 결과가 -(음수)% ???
그래서 달성한 정도의 값에 따른 + - 부호는 냅두고(그대로 따라가고)
아래 그림과 같이 목표치의 부호만 + 로 바꾸어 계산하면
C, D 와 같이 계산 됩니다
이 점은 아래 표에서도 확인이 됩니다.
특별한 조건이 없는 경우 단순히 볼 때 그 산식은
실적율=(실적-목표)/ABS(목표) 가 맞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.
물론,
통상적인 기준이 -1000 인 경우라면
이번에는 200 으로 했으므로 -800 부터 200 까지는 1000 이 되겠죠
따라서,
C 는 1000/1000=100% 로 생각 할 수 있으며
D 는 600/1000=60% 로 하는것이 맞다고 볼수도 있겠죠
따라서 왜 하필 -800 으로 목표를 설정 했느냐 하는점을 파악후
기준점을 설정하는게 나아보이지만
이러한 특이 점이 있다면 그 결정은 사용자의 몫이 아닐는지 합니다...
단순히 실적과 목표만을 비교하는건 무리가 있어보입니다.
아래와 같이 말이죠

(참고로 특정부분을 절대값으로 하기위해서는 abs 함수를 사용했습니다)

그래서 달성액을 구한 다음 비교하는 방법을 생각하면
이 문제에서는 기준점이 0(영) 이라고 보입니다.
아래와 같이 본다면 엄밀히 말해서
사례(가)와 (나) (A 와 B)의 경우는 합당한 판단으로 볼 수도 있으나,
사례(다)와 (라) (C 와 D) 의 경우는 문제점이 있어 보이네요.

우선,
(다) 경우 목표는 -800 이고 실적이 200 이므로 실제 달성한 실적은 1,000 이고
따라서 달성율은 1000÷(-800)= -125%
(라) 경우 목표는 -800 이고 실적이 -200 이므로 실제 달성한 실적은 600 이네요
따라서 달성율은 600÷(-800)=-75%
뭔가 이상하네요 달성을 일정한 수량만큼 ++로 했는데 그 결과가 -(음수)% ???
그래서 달성한 정도의 값에 따른 + - 부호는 냅두고(그대로 따라가고)
아래 그림과 같이 목표치의 부호만 + 로 바꾸어 계산하면
C, D 와 같이 계산 됩니다

이 점은 아래 표에서도 확인이 됩니다.

특별한 조건이 없는 경우 단순히 볼 때 그 산식은
실적율=(실적-목표)/ABS(목표) 가 맞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.
물론,
통상적인 기준이 -1000 인 경우라면
이번에는 200 으로 했으므로 -800 부터 200 까지는 1000 이 되겠죠
따라서,
C 는 1000/1000=100% 로 생각 할 수 있으며
D 는 600/1000=60% 로 하는것이 맞다고 볼수도 있겠죠
따라서 왜 하필 -800 으로 목표를 설정 했느냐 하는점을 파악후
기준점을 설정하는게 나아보이지만
이러한 특이 점이 있다면 그 결정은 사용자의 몫이 아닐는지 합니다...
'일반도구및 상식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차 방정식 근의 공식 응용 (0) | 2008.07.08 |
---|---|
이미지 뷰어 IrfanView for Win 9x,NT,2000,XP,Vista(v4.10) (0) | 2008.06.04 |
네트워크 프린터 파일 공유가 안될때! (0) | 2008.05.24 |
LiveOnAir 라이브온에어 프로그램 (0) | 2008.05.07 |